스킵네비게이션

지명유래

무안면

원래는 수안역이라 칭하였는대 지금의 인교,학포부근에 호수처럼 물이 괴어있는 안쪽이란 뜻으로 물안이란 음을 따서 무안이란 설과 구국선사 사명대사가 무사의 힘으로 안전한 피난처가 되었다는 뜻으로 무안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음.

동부(東部)마을

  • 소재지 마을로써 동편 동네이기 때분에 붙여진 마을이름이다.
  • 진등산이 마을을 감싸고 있음. (산등성이가 길다는뜻에서 생긴 지명)
  • 창고터: 홍제사 뒤편 일대에 있던 창고터인데 이곳에 옛 밀양부의 외서창이 있었다고 한다.
  • 디청들: 동네 죽쪽 일대의 들을 지칭하는 말로, 마을 뒤편에 있다고 하여 생긴 지명이다.

서부(西部)마을

  • 소재지 마을로써 서편 동네이기 때문에 붙여진 마을이름이다.

부로(扶老)마을

  • 원래 하서면의 한 지역으로 옛지명은 부로곡 또는 근곡이라 하였으나 1914년에 무안리에 통합됨.
  • 영치산의 지맥이 서남으로 향하다 다시 청도천과 나란히 남으로 뻗었는데 이를 뒷산으로 무안리와 마주하여 형성된 마을임.
  • 뜸뿍골: 부로리 왼편에 있는 첫 번째 골짜기이다. 산세가 뜸부기 형국이라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 금청들: 부로리 입구의 들 이름이다.

신법(新法)마을

  • 옛날 이곳에 사는 어떤 선비가 새 예법을 만든 일이 있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새로운 법 즉 신법이라 했다는 설이 있다.
  • 청도면 조천리 뒷산인 지불 등이 남쪽으로 뻗어 내려와 하서산에 이르는데 그 아래쪽에 위치한 동네임. 북으로는 화봉리와 삼태리, 남으로는 무안리, 동으로는 정곡리, 서로는 서로는 중산리와 인접하고 있으며 청도천을 끼고 형성된 마을이다.
  • 삼거리: 신법앞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 도로가 삼거리라 이름이 붙여진 것 같다.10여호의 민가가 있다

삼태(三台)마을

  • 삼태리는 본래 하서면의 한 지역으로써 마을 한가운데 큰 바위(지석묘)가 세 개 있었다고 하여 삼태리라 하고 그바위를 삼태바위로 불렀다 한다.
  • 청도면 조천리 지불등에서 한 줄기가 당고개의 능선을 따라 동남으로 뻗어 내려와 물박산에 이른다.
  • 또 한줄기는 동남으로 뻗어 내려와 하서산에 이르는데, 그 사이에 삼태천이 흐르고, 이 삼태천과 청도면에서 내려오는 청도천을 끼고 형성된 마을이다.
  • 당두: 삼태리의 중앙마을로 옛 지명은 당북리였다. 마을의 형국이 말과 같이 생겼다고 해서 붙은 지명이다.
  • 태봉: 당두 마을 서편에 있는 마을로 조야산리였다. 이 마을 뒷산에 당성공주의 태가 안치 되어 있다고 태봉이란 지명이 나온 것이라 한다.
  • 오숲골: 당두 마을 뒤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까마귀가 많이 서식했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화봉(華封)마을

  • 옛 이름은 하봉이라 했다고 하며, 마을뒤산의 모양이 꽃봉우리를닮았다고 하여 화봉이라고 하다가 峰자가 封자로 바뀌었다고 한다. 마을 중심에 정자나무 숲이 있어 여름철 땀을 식히는데 일품이다.
  • 화봉리는 청도천의 천왕산이 남으로 뻗어 조천의 뒷산인 지불등에 이르고 지불등에서 한줄기가 동남으로 뻗어 물박산에 이른다. 또 한줄기도 동남으로 뻗어 하서산에 이르는데 그사이에 삼태천이 흐르고, 이 삼태천의 상류를 끼고 형성된 마을이 華封里인데 옛 이름은 河峰이라 했다고 한다.
  • 초전: 화봉리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대가 낮아 항상 물이 고여 있어 붙여진 지명이라 한다.

영신(永信)마을

  • 모곡위쪽에 위치한 마을로써 화봉리에서 제일 나중에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마라고 부르다가 영신리라고 고쳐 불렀다고 한다
  • 화봉리는 청도천의 천왕산이 남으로 뻗어 조천의 뒷산인 지불등에 이르고 지불등에서 한줄기가 동남으로 뻗어 물박산에 이른다. 또 한줄기도 동남으로 뻗어 하서산에 이르는데 그사이에 삼태천이 흐르고, 이 삼태천의 상류를 끼고 형성된 마을이 華封里인데 예 이름은 河峰이라 했다고 하는데 화봉리의 위쪽을 영신리라 한다.

죽월(竹月)마을

  • 죽월리는 본래 하서면 지역으로 옛 지명은 대월 또는 죽월 이라고 한 것은 옛날 마을 앞뒤에 죽림이 무성하여 그 형태가 마치 달과 같다고 하여 붙였다고 하기도 하고, 이 마을이 달과 같은 형국인 데다 마을 뒤에 대나무가 많이 자생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 이라고도한다.
  • 청도면 뒷산인 지불등이 동남으로 뻗어 내려와 당고개, 대월고개에 이른다. 다시 대월고개에서 한 줄기가 동으로 뻗어 부치덤산에 이르고 또 한줄기가 동남으로 뻗어 강지잇골에 이른다. 그 사이에 청도천을 끼고 동향으로 형성된 마을이다.
  • 당산걸샘: 죽월마을 서쪽에 있는 골짜기에 있는 샘으로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함.
  • 부엉디미 : 삼태리와 경계를 이루는 산기슭으로 옛날에 부엉이가 많이 서식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붉은등: 죽월 북쪽에 있는 산등성이로 흙 색깔이 붉은 황토로 덮여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양효(良孝)마을

  • 옛지명은 곡양이며 자연마을로는 곡양과 효우촌으로 나뉜다.효우촌은 람회당 이이두가 만년에 오우당을 짓고 오형제가 기거를 함께하며 독서와 효우를 몸소 실천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마을명이며 오우당 자리는 구 내진초등학교라 한다.
  • 청도면 뒷산인 지불등이 동남으로 뻗어 내려와 당고개에 이르고, 다시 동쪽으로 한 줄기가 내려와 의봉산에 이른다. 또 당고개에서 한줄기가 동남으로 내려가 부치덤산에 이른다. 그 사이에 곡량동이 있고, 의봉산의 남쪽 기슭에 효우촌이 있다.
  • 곡량: 옛날 玄씨가 기거하여 골이 깊고 물이 맑을 뿐 아니라 토지가 비옥하여살기 좋은 곳이라고 곡량이란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 효우촌: 람회당(覽懷堂) 李而杜가 만년에 오우당을 짓고 오형제가 함께 기거를 함께 하며 독서와 효우를 몸소 실천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오우당의 자리는 지금은 폐교된 내진초등학교라 고 전해진다.
  • 조산들: 양효 앞들을 말하는대 청도천을 끼고 있다. 1988년 경지정리때 석관이 출토된 곳이다. 옛날 이곳에 造山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내진(來進)마을

  • 옛지명은 내진향이며 일명 통가라고 한다. 이 향은 세종실록지리지에 실려있는 것으로 보아 15세기 중엽까지 존속해 오다가 15세기 말에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이 마을에는 신라시대 飛進寺라는 큰 절이 있었는데 내진이란 마을명이 여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 조천리 뒤산인 지불등에서 산 줄기가 당고개의 능선을 따라 동남으로 뻗어 의봉산에 이르고, 그 아래쪽에 동으로 향해 위치한 마을이다.
    정내(井泉): 내진리 동족의 가운데 위치한 마을로 청도천이 이쪽으로 흘렀다고 하여 정내라 부른다고 한다.
  • 비롯골: 마을뒤 대밭 위쪽에 위치한 작은 골짜기로 비진사의 유적지가 있었다 하는대 비진사가 있던 골짜기라는 의미에서 붙여졌다가 음이 변하여 비롯골이라 부른 것으로 추정된다
  • 장성잿골: 마을 뒷산 아래쪽에 있는 골짜기로 옛날 이곳에 서당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흔적이 없고 절이 하나 있다.
  • 청룡동: 내진 마을 뒷산 서북쪽에 있는 산등성이로 청도천과 경계를 이루는데 마을에서 보면 좌청룡에 해당하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동산(銅山)마을

  • 동산리는 마을뒷산에서 구리(銅)가 생산되었다고 하여 구리미(뫼)라 하였고 이를 한자어로 바꾸어 銅山이라 했다고 하며, 일설에는 9개의 마을으로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구리미라 했다고도 한다. 밀주지(密州誌)에 의하면 지사역(只士亦)이라 하였고 후대에 동산리라 불렸다 한다.
  • 화악산의 한 지맥이 서쪽으로 뻗어 내려 팔방재에 이른다. 이 곳에서 한줄기가 남으로 뻗어 앞고개와 대불산에 이르고, 또 한줄기가 서남으로 뻗어 천마봉을 지나 까막소 마을에 이른다. 이 산기슭 아래쪽에 동산리가 있다.
  • 까막소: 마을 입구에 있는 바위가 멀리서 보면 까마귀가 많이 앉아 있는 것처럼 까맣게 보인다 하여 붙여진 동네이름이며 상업을 위주로 하는 사람들이 모여 형성된 마을이다
  • 서당각단: 까막소 마을 동편에 위치한 마을로 마을이 형성되기전 서당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영남촌: 서당각단 남쪽에 위치한 마을로 경지정리 전에 마을 한가운데를 가로 지른 애기둑이 있었는데 이둑이 청도면과 경계를 이룬다.
  • 원당골: 영남촌 남쪽에 위치한 마을로 옛날 서원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동산리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하여 아랫구리미라 부르기도 한다.
  • 지사역(只士亦): 까막소 마을에서 서당각단으로 간즌 길목에 위치한 마을로 이곳이 동산리의 본동네로 추정된다. 지금은 마을은 없어지고 돌담등 그 흔적만 남아 있다.

판곡(板谷)마을

  • 화악산의 지맥이 남으로 뻗어 대불산 아래 청도천을 앞으로 하여 형성된 마을로 멀리서 보면 지세가 배의 형상이라 한다. 판곡이란 마을 이름도 배의 널빤지를 본 따 널실로 하다가 "ㄹ"음이 탈락되면서 너실로 바뀌었고 이를 한역하여 판곡으로 불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판곡리라 하고 1933년 무안면에 편입됨. 자연마을로서는 너실과 점터가 있음.
  • 화악산의 지맥이 남으로 뻗어 이룬 대불산 아래 청도천을 앞으로 하여 형성된 마을이다.
  • 너실: 판곡이란 명칭이 붙여진 마을로 지금은 윗마, 아랫마로 나뉜다. 이곳에 김녕김씨의 죽산제가 있고 김녕김씨와 밀성박씨의 세거지이다.
  • 장군실: 너실마을 윗동네와 아랫동네 사이에 있는 산등성이로 이곳에 넙덕바위가 있다. 옛날 이곳에 장군이 살았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 말미등: 너실마을 장군실 위쪽의 등성이로 이 곳에 큰 묘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사실 말묘가 아니지만 묘역이 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배나무골: 너실마을에서 노루실로 넘어가는 서편 골자기로 고개정상에 돌배나무가 있었기 때문에 배나무고개라 부른다.
  • 점토: 예전에 마을에서 기와를 구웠다고 하여 점터라 부른다.
  • 당고개: 점터마을에서 정곡리로 넘어가는 고개.정상에 당(堂)나무가 있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또 낮고 짧은 고개라 하여 단고개라 부르기도 한다.

운정(雲汀)마을

  • 화악산의 지맥이 남으로 뻗어 앞고개에 이르고, 여기서 다시 우령산으로 내려가는 줄기와,대불산을 이루어 배산에서 그치는 줄기가 있는데, 그 양 산줄기가 감싸고 있는 자리에 위치한 마을이다. 본래 -밀양부 하서면에 속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에 장곡(獐谷), 안지말과 합쳐 운정리가 되었다.옛날에는 굼보라고 했다고도 한다. 진주유씨와 완산전씨의 집성촌이다.
  • 화악산의 지맥이 남으로 뻗어 앞고개에 이르고, 여기서 다시 우령산으로 내려가는 줄기와,대불산을 이루어 배산에서 그치는 줄기가 있는대, 그 양 산줄기가 감싸고 있는 자리에 위치한 마을이다.
  • 운정: 운정리의 본담으로 앞산인 굴산의 필봉을 마주하고 있다.
  • 노루실: 본촌의 서북족 골짜기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다. 이 마을이 노루처럼 우뚝 솟은 형상이라고 하여 붙여진 지명인대 10여호가 거주하고 있다.
  • 안지마: 운정본담에서 정곡으로 가는 농로길상에 있으며 원래 안씨가 거주하여 안씨마을이라고 하다가 이말이 변했다고 하나 확실한 근거가 없고 운정 안쪽 마을이라고 하여 안마을로 부르던 것이 축약되어 안지마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백안(白安)마을

  • 백안동이라고 한 것은 우령산의 서편 한 지맥이 뱀과 같이 생겼다고 하여 배암동이라고 했는데 그 음을 표기하면서 白眼洞, 百安洞 등으로 변하였다고 함. 자연마을으로 백안,어은동,새각단이 있다.
    화악산의 한 지맥이 남으로 뻗어 고암산, 우령산을 이루고 그 아래 서쪽에 모여있는 마을이다.
  • 백안동: 우령산의 서편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다. 백안동이라고 한 것은 우령산의 서편 한 지맥이 뱀과 같이 생겼다고 하여 배암동이라 했는데 그음을 표기하면서 백안동으로 변했다고 한다.
  • 어은동: 밀양에서 무안으로 고개를 넘어오면 처음으로 나오는 동네이다. 약 400년전에 어영하라는 효자가 살았는데, 進士에 급제한 선비이면서도 관직에 나가지 않고 이곳에 은거하면서 미풍양속을 계도하였다고 하는대 어씨가 은거한곳이라고 붙여진 지명이다. 지금도 어효자의 사적을 기록한 효자각과 비석이 날뛰고개 중간쯤에 서 있다.
  • 새각단: 백안동과 어은동 사이에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고 하여 신촌 혹은 새각단이라 부른다.
  • 날뛰고개: 어은동에서 새각단을 거쳐 부북면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이고개의 정점이 부북면과 무안면의 경계이며 옛날부터 결혼할 때 이고개를 지나지 않는다는 풍습이 전해져 아직도 결혼시에는 이 고개를 넘지 않는다.
>

가복(加福)마을

  • 백안과 운정리 사이에 있는 마을로 이마을 뒷산에 거북같이 생긴 귀알이란 바위가 있다고 하여 거북동이라 했는데 한자로 표기하면서 가복동으로 바뀌었다고 함.
  • 화악산의 한 지맥이 남으로 뻗어 고암산, 우령산을 이루고 그 아래 서쪽에 모여있는 마을이다.
  • 참나무진: 어은동과 가복동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 참나무가 많이 있엇다고 해서 붙은 지명이다.
  • 점동: 참나무진 서편의 도로변위.아래쪽에 걸쳐 있는 마을로, 옛날 이곳에서 기와를 구워 팔았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인데 충주석씨의 평후정이 있다.
  • 지정: 가복리 동쪽끝 왼편에 위치한 마을로 저정산의 아래쪽에 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예전에는 주막과 양조장이 있어 오가는 여객들의 쉬는 장소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폐가만 있으며 뒷산 골짜기에 지정사가 있다.

신생(新生)마을

  • 1945년부터 3,4명의 나환자가 이곳에 정착하면서 각 처의 나환자가 몰려 들었고 1949년 수용소로 지정되었고, 필생(必生)의 신념을 가진다는 의미로 신생원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정곡(鼎谷)마을

  • 우령산의 지맥이 서쪽으로 뻗어 정곡리와 무안리의 앞산을 이루고, 또 화악산의 지맥이 서남으로 뻗어 그 한줄기의 끝이 대불산을 이루고, 다시 뻗어 배산을 이루는데, 그 아래쪽에 형성된 마을이다.
  • 익기소: 정곡앞을 흐르는 정곡천에 소로 지금의 솥질 마을 앞 정자나무숲 부근이라고 한다. 옛날 이곳에 깊은 소가 있었는데, 기생이 빠져 죽은 소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지금은 하상이 높아 그 흔적만 남아 있다.
  • 배산(舟山): 정곡본동인 솥질 뒷산을 말함. 산세가 마치 배가 떠 있는 형국이라 햐여 붙인 산명이다. 이산의 바위를 깨면 배가 가라앉는다고 하여 돌을 깨지 못하게 하는 전설이 있다.
  • 나뭇골(木洞) : 솥질 북쪽에 있는 마을로 적촌(赤村), 복을(伏乙)이라 하였다 한다. 마을 안쪽 골짜기에 나무가 많아 나뭇골이란 지명이 생겼다고 함.
  • 신화: 솥질의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이 마을에 자주 화(禍)가 일어 났는대 이를 귀신의 조화라고 여겨 신화(神化)라고 했다가 지금의 신화(新化)로 고쳤다고 하며 이음이 변하여 시내라 부르기도 한다.
  • 단장: 신화 동쪽 산록에 위치한 마을이다. 옛날 이곳에 살았던 부자가 그 집주위에 큰 담장을 쌓았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인대 지금은 그 흔적만 있다.
  • 조무실: 신화의 남쪽에 위치한 마을로 뒷산의 산세가 마치 새가 춤추는 형국이라 하여 조무(鳥舞)실이란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연상(淵上)마을

  • 우령산의 지맥이 서남으로 뻗어 납달고개로 해서 함박산에 이르고, 납달고개의 위쪽에서 한 줄기가 뻗어 청도천에 이른다. 이산 능선을 사이에 두고 부로리와 경계를 이루며 형성된 마을이다.
  • 상당동: 상당곡이라고도 하는대 약 450년전 박곤장군이 이곳에 어변당을 짓고 집뜰에 못을 깊게 파서 고기를 길렀는데 그 고기가 용이 되어 상천하였다고 해서 상천의 상자와 어변당의 당을 따서 상당동이 되었다고 한다. 상당동은 그 위치에 따라 음달마와 양달마로 나뉜다.
  • 납달고개: 연상에서 초동면 봉황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무안면과 초동면의 경계이다. 이곳에 납달바위가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대 이 바위가 바로 지석묘이며 현존한다.
  • 중리: 이 마을 서북쪽 골짜기에 하곡동이 있었고 위쪽은 상당동이 있어 그 중간에 있는 마을을 중리라 한다. 또한 호연정이 있었다고 하여 호연동이라 부르기도 한다.

고사(高士)마을

  • 고슬곡: 고사동에서 부연으로 가는 고개이름으로 고사동고개라는 말이 줄어진 것으로 보인다.
  • 애기바위: 고사동 동남편 산정상에 있는 바위로 바위의 모습이 아기를 업고 있는 모습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절골: 고사동 마을에 있는 가매봉산의 절터가 있었던 지역으로 이 일대를 안수사지로 추정하고 있다

강동(江洞)마을

  • 서로는 도리산이 서남으로 뻗어 내려와 종암산을 이루면서 인교에 이르고, 동으로는 우령산의 줄기가 서남으로 뻗어 함박산에 이르는데, 그 사이로 청도천이 흐르고 있다. 이 청도천 옆에 형성된 마을이다.
  • 부연: 청도천의 동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 주위의 산세가 가마솥처럼 생겼다고 하여 이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부연이란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 어룡산: 부연동 마을 뒷산 동남쪽 일대의 산을 위의 모습이 아기를 업고 있는 모습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서은동: 청도천의 서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 서쪽에 숨겨진 지명이라고 붙여진 지명이다.

강서(江西)마을

  • 서로는 도리산이 서남으로 뻗어 내려와 종암산을 이루면서 인교에 이르고, 동으로는 우령산의 줄기가 서남으로 뻗어 함박산에 이르는데, 그 사이로 청도천이 흐르고 있다. 이 청도천 옆에 형성된 마을이다.
  • 성덕원: 조선시대 성덕원의 원사가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원은 수안역과 창녕군 온정역 중간에 위치하였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밀주지(17세기)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 이후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 개미: 성덕원 북편에 위치한 마을로 옛 지명은 포산 또는 개뫼라고 하였다.
  • 인교: 밀양시와 창녕군의 경계지점으로 북으로는 성덕리 동으로는 초동면 서로는 창녕군과 인접해 있는 교통요로다. 지금도 구도로를 중심으로 창녕군과 밀양시로 나눠져 있다.
  • 안골: 성덕원 마을 뒷산 골짜기를 말하는데 마을 안쪽에 있는 골짜기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곳을 통해 부곡면 수다리로 넘어가는 땅고개가 있다.

모로(慕老)마을

  • 옛지명은 모로곡이라고 하고, 노인을 공경하는 예의 바른 곳이란 의미에서 모로리라 했다고 함. 임진왜란때 마을앞에 큰 숲이 있었기 때문에 왜군이 이앞을 지나면서 마을이 있는줄 모르고 지났다고 해서 모르리라 하였다가 모로리로 바뀌었다고도 한다.
  • 덕암산의 지맥이 동으로 뻗어 청도천에 이르고, 그 지맥을 뒷산으로 형성된 마을이다.
  • 골안 : 마을 뒷산의 골짜기를 말하는데, 골짜기의 안쪽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 원원들 : 동네앞 큰 들로 땅이 비옥하고 면적이 무안면에서는 제일 크다. 원래부터 생겼던 들이라고 붙여진 지명이다.

덕암(德岩)마을

  • 도리산이 동쪽으로 뻗어 내려와 덕암산을 이루고 덕암산 아래족에 위치한 마을이 덕암리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숲,옥천동,중산리의 일부를 합쳐 덕암리라 하였다.
  • 중촌: 마을의 중앙에 위치한 보 마을이다.
  • 상촌: 중촌 마을 위에 있는 마을이다.
  • 덕암산: 도리산의 지맥으로서 아래쪽에서는 제일 큰산이며 덕암리의 주산(主山)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하는데 덕대산이라 하기도 한다.
  • 산뱅이: 덕암리의 제일 위쪽(산중턱)에 위치한 마을로 마을 뒤의 세 봉우리의 형세가 두꺼비,뱀,돼지의 형상이라 하여 삼봉이라 했는데 이 명칭이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 옥천동: 중촌의 동북쪽에 위치한 마을로 마을앞에 옥같이 맑은 샘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 신숲: 옛날 이곳에 자연적으로 생긴 숲이 있어 경치가 좋을 뿐만 아니라 피서지로 이용되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중산(中山)마을

  • 도리산에서 덕암산에 이르는 산줄기가 창녕군과 밀양군의 경계를 이루고 이 지맥에서 뻗은 여러 산줄기가 내려와 고라리와 가례리의 경계를 이루는 중봉이 되었는대, 이를 배경으로 형성된 마을이다.
  • 중산: 본마을로 뒷산인 중봉아래 있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평산 신씨의 집성촌이다.
  • 삼강동: 중산리부터 그 안쪽에 있는 마을 전체를 일컬어 삼강동이라 부른다. 이는 임진왜란때 서가정 출신의 손인갑과 그의 아들인 손약해, 그리고 노개방과 그의 부인 여주 이씨, 고라리 출신의 사명당 등 이곳에서 충신,효자,정절녀가 5위나 배출되어 삼강(三綱)을 빛낸곳이라고 붙여진 지명이다.
  • 덕암산: 도리산의 지맥으로서 아래쪽에서는 제일 큰산이며 덕암리의 주산(主山)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하는데 덕대산이라 하기도 한다.
  • 충절길: 중산초등학교에서 무안리로 가는 길을 칭하는대 중산리 입구의 산기슭에 있는 바위에 삼강문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기 때문에 붙여진 지명이다.
  • 새터: 중산 본마을 동편 산 기슭에 위치한 마을로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마로 부르기도 한다.

웅동(熊桐)마을

  • 도리산의 지맥이 동으로 뻗어 종암산에 이르고, 그 아래 중산리와 인접하여 형성된 마을이다. 동으로는 중산리, 서로는 창녕군, 남으로는 덕암리, 북으로는 가례리와 각각 인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자양동, 어룡동,관동을 합쳐 웅동리라 하였다.
  • 관동: 웅동리로 들어가는 첫마을로 옛지명은 관동리였다. 뒷산에 있는 구표충사의 앞산 모습이 고깔을 쓴 형상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양지쪽의 양달마와 음지쪽의 음달마로 나뉘어져 있다.
  • 들마을: 웅동리 본담인 곰골의 서쪽에 위치한 마을로, 약 150년전에 들가운데 생긴 마을이라 하여 들마을, 야촌이라고도 부른다.
  • 자양동: 웅동리 본담인 곰골의 위쪽에 위치한 마을로 임진왜란 전부터 이 곳에 자양사가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어룡동(魚龍洞): 자양동의 안쪽에 있는 마을로 옛지명은 어룡동리였다. 웅동 저수지 부근의 산세가 왕을 상징하는 용의 형상을 닮았다고 하여 어룡동으로 부른다고 하며 일설에는 앞 냇가의 작은 못에 살던 물고기가 용이 되어 승천하였다고 하여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

서가(西佳)마을

  • 청도면 조천리의 뒷산인 지불등이 남으로 뻗어 도리산에 이르고 다시 도리산의 한줄기가 동으로 뻗어 중봉산에 이른다. 마을 뒤로는 고라리에 이르고 한 줄기가 내려와 서가정에 이른다. 북,서,남 삼면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다.
  • 도리산: 천왕산의 지맥이 남을 뻗어 형성된 산으로 서가정의 뒷산일 뿐만아니라 무안면 동부의 주산이 우령산이라면 서부의 주산은 도리산이 된다고 한다.
  • 불당골: 서가정 마을 서쪽에 위치한 골짜기로 , 절터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지금도 절터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최근 사찰이 새로이 들어 섰다.
  • 바람재: 서가정 마을에서 창녕군 옥천리, 시무실, 놋단으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이다. 바람이 세차게 분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다례(多禮)마을

  • 다례저수지 위쪽에 위치한 마을로 원래 이곳을 다례동이라 하였는대 개칭하여 감리로 불렀다가 이웃마을 서가정에서 삼현이 나왔다고 해서 다시 다례동(多禮洞)이라 불렀다 한다.
  • 청도면 조천리의 뒷산인 지불등이 남으로 뻗어 도리산에 이르고 다시 도리산의 한줄기가 동으로 뻗어 중봉산에 이른다. 마을 뒤로는 고라리에 이르고 한 줄기가 내려와 서가정에 이른다. 북,서,남 삼면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다.
  • 도리산: 천왕산의 지맥이 남을 뻗어 형성된 산으로 서가정의 뒷산일 뿐만아니라 무안면 동부의 주산이 우령산이라면 서부의 주산은 도리산이 된다고 한다.
  • 불당골: 서가정 마을 서쪽에 위치한 골짜기로 , 절터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지금도 절터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최근 사찰이 새로이 들어 섰다.
  • 바람재: 서가정 마을에서 창녕군 옥천리, 시무실, 놋단으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이다. 바람이 세차게 분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고라(古羅)마을

  • 동,북,서 삼면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고, 남으로 트여 있는 마을이다. 그 가운데에 여러 골짜기에서 내려온 물이 모여 고라천을 이루어 청도천으로 흘러간다.
    진동고개: 중촌 마을에서 화봉리와 삼태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름이다.
  • 마곡: 중촌 위에 위치한 마을로 옛날 이곳에 삼(麻)이 많이 자생하여 숲을 이루었다고 마곡이라 부른다 한다.
  • 장재터: 고라리의 입구에 위치한 마을로 장재기라고도 하는데 300여 년전 이곳에 장자가 살았다고 붙여진 지명이다.

만족도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를 평가해 주세요.

평가:
  • 담당자 : 무안면 전화 : 055-359-6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