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지사항
- 2022년 GAP(농산물우수관리제도) 기본교육 신청 안내
- 2022년 GAP 교육을 실시하오니 교육을 희망하는 관내 농업인께서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신청기간: 2022. 6. 29.(수) ~ 7. 20.(수), (3주정도) ○ 접수방법 - 본인방문접수(읍·면·동 산업경제담당, 미래농업과 미래농업담당) - 이메일 접수(bys0120@korea.kr) ○ 교육일시: 2022. 7. 27.(수), (A반) 13:00~15:00, (B반) 15:30~17:30 ○ 교육인원: 120명 정도 ※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소수인원(반당 60명)으로 나누어 진행 ○ 장 소: 농업기술센터 농업인교육관 대강당(2층) ○ 교육내용: 농산물우수관리(GAP) 제도의 이해
2022.06.29
- 2022년 농어업인수당 지급대상자 선정명단 공고
- 2022년 밀양시 농어업인수당 지급대상자 선정명단을 공고 합니다. 문의하살 내용이 있으시면 농업정책과 친환경인력담당(전화 055359-7122)이나 해당 읍면사무소에 연락하시면 됩니다.
2022.06.24
- 2022년 해외전문가 활용교육(시설채소 고온기 관리기술) 신청 안내
- 경남농업기술원에서 해외전문가를 초빙하여 시설채소와 고온기 관리기술 관련된 교육을 아래와 같이 실시할 계획이오니, 본 교육을 희망하는 관내 농가께서는 2022.6.24.(금)까지 신청 부탁드립니다. <양액재배 시설채소 고온기 관리기술 교육개요>가. 과 정 명 : 시설채소 고온기 관리기술나. 기 간 : 7. 5.(화)~7.8.(금) 중 1개 선택 / 09:00 ~ 13:00다. 교육인원 : 일 50명 정도(경남도 농업인 및 농업관련 공무원)라. 교육방법 : 비대면 온라인교육(Zoom 활용)마. 전 문 가 : 펠릭스 타라츠(Felix Tarrats, 멕시코) ※ 통역 : 임채신(ATEC)바. 교육내용 : 시설채소 양액 및 함수율 관리, 고온기 온실환경관리 등 <교육신청>가. 신청기간 : 2022. 6. 22.(수) ~ 6. 24.(금)나. 신청대상 : 경남도 농업인 및 농업관련 공무원다. 신청서류 : 개인정보동의서 1부라. 신청접수 : 밀양시농업기술센터 미래농업과 미래농업담당 이메일접수(bys0120@korea.kr)(055-359-7154)
2022.06.23
- 2022년 귀농인의 집 조성사업 수요조사 실시
- 귀농귀촌인 유치를 위한 귀농인의 집 조성사업 수요조사를 실시하오니, 사업을 희망하는 마을회에서는7.14.(목)한 주소지 읍면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신청바랍니다.○ 귀농인의 집: 귀농귀촌 희망자가 일정기간동안 영농기술을 배우고, 농촌체험 후 귀농할 수 있는 임시거처 시설 ○ 사업대상: 1년 이상 비어있는 빈집 중 등기되어있고, 7년이상 임대가 가능한 주택 ○ 신청자격: 마을협의회가 귀농인의 집을 무상으로 제공하거나, 마을지역의 빈집을 확보하여 소유주와 7년이상 임대차 계약체결이 가능한경우 ○ 사 업 량: 2개소 ○ 사 업 비: 40백만 원(개소당 20백만 원) ○ 사업내용: 빈집 리모델링, 이동식 주택구입 비용 ※ 해당사업은 사업시행 전, 사전 수요조사임붙임 귀농인의 집 조성사업 계획 및 사업신청서 1부. 끝.
2022.06.21
-
#자주하는 질문
- 여건이 여의치 않아 현장교육을 받기 어려울때는 귀농에 대해 공부방법이 있는지요?
- 귀농교육은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이 있습니다. 온라인 교육은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귀농 희망자들이 편리하게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온라인 교육은 농촌 진흥청 농천인적자원개발센터(http://hrd.go.kr)와 농업인력포털(www.agriedu.net) 에서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참고로 농촌진흥청(농업신문사 대행)에서는 귀농관련 도서 및 작물관련 도서 등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습니다. 팜북(www.farmbook.kr)을 이용하신다면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표준영농교본 등을 주문하여 받아보실 수 있으며, 농서남북(http://pod.rda.go.kr)에서는 표준영농교본 뿐만 아니라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하는 거의 모든 도서를 열람하실수 있으며, 개별적인 구매도 가능합니다.특히 시중에서는 구입할 수 없는 비매품 및 품절 도서도 인쇄 및 열람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한편 농업 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사업의 경우 위 기관의 사이버교육도 교육실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의 교육 중에서 공개과정의 교육은 교육을 이수 하였다는 증빙이 불가하기 때문에 교육실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없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사이버교육의 경우 총 이수시간의 50%를 인정하며, 최대 40시간까지만 반영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1.03.17
- 금융기관간 연체정보 공유는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 기준일자는 어떻게 되나요?
- 각 금융기관으로부터 연체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각 금융기관에 다시 제공하는 기관은 은행 연합회와 신용정보회사가 있습니다.은행연합회는 법적인 강제 기관으로 주로 장기연체정보(연체 일로부터 90일이상)를 공유하고, 신용정보회사는 금융기관과의 개별적 협약을 통해 단기연체정보(업체일로부터 5일 이상)를 공유합니다.
2021.03.17
- 토양정보 등 작목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확인 할 사항
- 선택작목에 따라 정착지의 위치가 크게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과수나 축산 등을 할 경우는 준산간 지역을, 시설원예와 같은 집약 생산 작목을 할 경우에는 도시 근교를, 벼농사를 할 경우에는 평야 지역을 정착지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산간지 지역 : 친환경 보전 품목 및 약초, 관광농업, 휴양관련위주의 작목 2. 준산간 지역 : 낙농, 축산(한우), 과수, 특용 등 3. 도심근교 지역 : 시설원예와 같은 집약 생산 작목 4. 평야 지역 : 벼농사, 채소농사, 밭농사, 화훼 관련 작목 지형적인 특성도 중요하지만 그 지역 기후와 토양적인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어야 자신이 정한 작물에 맞는 농지인지 결정할 수 있다. 자신이 선택한 작목재배에 적합한 토질과 환경을 갖추었는지 또한 필수 체크사항이다. 5. 고도, 방향, 보습력, 물 빠짐, 비옥도, 물(농수) 확보성, 농로접근성, 농기계작업의 용이성, 경사도, 풍수해 피해 여부 등 토양정보를 확인하려면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흙토람을 방문해 보세요. 흙토람바로가기(http://soil.rda.go.kr/soil/index.jsp)
2021.03.17
- 귀농하여 임업을 경영하고자 하는 경우 정부 지원정책이 있나요?
- 산림청에서 주관하는 “귀산촌인 창업자금 지원 정책”이 있습니다.이 정책은 농촌지역의 지역산림조합에서 대상자 선발하고 지원금 대출업무를 하고 있습니다.지원 규모는 귀산촌 임업 창업자금 세대당 3억원까지, 농가주택자금 세대당 5천만원까지를 금리 2%, 5년거치 10년분할상환 조건으로 담보대출입니다. 기타 상세한 것은 산림청 또는 귀농귀촌종합센터홈페이지 > 알림정보 > ‘공지사항’에서 확인 할 수 있으며, 지역산림조합에서 상담 및 지원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1.03.17
-
#게시판
- 읍면홈페이지 바로가기
- 지도를 클릭하시면 해당 읍면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클릭하시면 해당 읍면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