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의 이해
고문적(古文籍)의 개념
서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각 지방에 남아있는 고문적은 주로 서적류(書籍類)·호구단자류(戶口單子類)·교지류(敎旨類)·분재기(分財記)·완문(完文)·상소문(上疏文)·토지문서(土地文書)·노비문서(奴婢文書)등인데, 고문적은 사료적 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옛 문화를 보존하고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로도 이용된다.
밀양시립박물관의 고문적
- '전통과 학문의 고장' 밀양에는 가문마다 목판과 고문적이 가득하다. 따라서 밀양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적은 유명 대학도서관 수준이며, 소장된 범위도 조선조 말에 간행된 신활자본 까지 있다.
고문적 분류
경부(經部)
- 1-1. 역류(易類) 주역(周易) 계통 서적
- 1-2. 서류(書類) 서전(書傳) 계통 서적
- 1-3. 시류(詩類) 시경(詩經) 계통 서적
- 1-4. 춘추류(春秋類) 춘추(春秋) 계통 서적
- 1-5. 예류(禮類) 예기(禮記) 계통 서적
- 1-6. 효류(孝類) 효경(孝經) 계통 서적
- 1-7. 사서류(四書類) 사서(四書) 계통 서적
- 1-8. 소학류(小學類) 소학(小學) 계통 서적
사부(史部)
- 2-01. 정사류(正史類) 사관이 쓴 정사
- 2-02. 편년류(編年類) 년대순 역사서
- 2-03. 기사류(紀事類) 사건중심 역사서
- 2-04. 별사류(別史類) 부분적 역사서
- 2-05. 잡사류(雜史類) 기타 역사서
- 2-06. 사표류(史表類) 고사(故事)류
- 2-07. 초사류( 史類) 약사(略史)류
- 2-08. 조령류(詔令類) 상소,호소문류
- 2-09. 전기류(傳記類) 인물 전기류
- 2-10. 계보류(系譜類) 왕실, 문중계보류
- 2-11. 정법류(政法類) 법령, 정치론류
- 2-12. 지리류(地理類) 인문지리류
자부(經部)
- 3-01. 유가류(儒家類) 유교관련 서적
- 3-02. 도가류(道家類) 도교관련 서적
- 3-03. 석가류(釋迦類) 불교관련 서적
- 3-04. 병가류(兵家類) 병법관련 서적
- 3-05. 농가류(農家類) 농업관련 서적
- 3-06. 의가류(醫家類) 의학관련 서적
- 3-07. 잡가류(雜家類) 기타 서적
- 3-08. 술수류(術數類) 천문관상 서적
- 3-09. 예술류(藝術類) 예술관련 서적
- 3-10. 유서류(類書類) 색인집류 서적
집부(集部)
- 4-01. 총집류(總集類) 시문 모음집
- 4-02. 별집류(別集類) 개인시문집
- 4-03. 서간류(書簡類) 편지. 서찰류
- 4-04. 시문평(詩文評) 시문평론집
- 4-05. 소설류(小說類) 소설류
- 4-06. 잡저류(雜著類) 기타 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