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목판

목판의 이해

목판본(木版本)의 개념

목판인쇄는 가장 오래된 인쇄술로, 660년경부터 중국에서 경전·달력 등을 인쇄하는데 사용되었다. 목판에 새길 내용을 종이에 적은 후 이것을 뒤집어 붙여 도장 파듯이 새겨 만든다. 이렇게 만든 목판에 먹을 칠하고 종이를 대어 말총이나 머리카락 같은 뭉치로 문질러서 찍어낸 책을 목판본(木版本)이라고 한다.

한국의 목판

  • 석가탑에서 발견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인쇄물로 확인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을 비롯하여 관청이나 사찰에서 많은 유교나 불교의 경전이 간행되었다. 특히 성리학이 전래된 이후 사대부가에서 아동용 학습서를 비롯하여 개인의 시·문집이 널리 간행되었다.
  • 목판 인쇄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한글체로, 훈민정음 제정 당시에는 글자의 형태에 충실하려고 매우 딱딱한 모습이었으나 점차 필사체의 영향을 받아서 유려한 맛을 지니게 되었다. 판본체의 대표적인 것은 경전을 번역한 언해본(諺解本)이 있다.

만족도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를 평가해 주세요.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