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청자

청자의 이해

청자는 원래 중국 한나라 때 절강성 월주(越州)에서 시작되어 당(唐)을 거쳐 송대(宋代)에 그 절정을 이루었는데, 우리 나라에는 통일신라말(9C)에 전래되었다. 청자는 고령토 중 철분이 조금 섞인 회토(灰土)를 반죽하여 모양을 만들어 약700℃ 정도에서 초벌구이를 하여 그 위에 규산염(硅酸鹽)이 1∼3% 정도 함유된 유약을 입혀 1300℃ 정도에서 환원염으로 구어 낸 자기(磁器)를 말한다.

유약은 초록이 약간 섞인 푸른색인데, 비취색(翡翠色)과 비슷하며 투명에 가깝다. 태토의 색이 흐린 회색이기 때문에 회색이 바탕이 된 녹청색이 되었다. 옛날 고려사람들은 비색(翡色)이라 불렀는데, 청자의 비색은 세계가 감탄한다.

청자의 등장

  • 통일신라시대는 부장용(副葬用) 보다는 생활용기로서 토기의 실용화가 촉구되었다. 때문에 물이 스며들지 않게 표면에 유약(釉藥)을 바른 녹유토기(綠釉土器)가 나타났다. 이어서 9C 초엽 중국 월주에서 생산된 해무리굽청자가 우리 나라 서남해안 일대에 전래되자, 9C말에 전남 강진을 중심으로 해무리모양의 넓고 낮은 굽이 특징인 해무리굽청자가 접시(接匙)를 중심으로 생산되기 시작하였다.

청자의 변천과 종류

  • 9C말, 해무리굽에서 시작된 청자는 고려시대에 들어와 그릇의 모양과 문양, 굽는 방법에서 고려만의 독특한 개성이 나타난다. 12C 초에는 세상에 그 유례가 없는 아름다운 비색이 표현된 순청자가 나타났고, 이어 12C 중반에는 상감창자도 나타나 고려청자는 그 절정을 이루게된다. 은은하면서 가을하늘 같이 맑은 비색과 유려한 형태, 독특한 상감기법과 화려한 문양 등은 당시 고려인들이 추구한 미적 수준이 어느 정도였나를 보여준다.

순청자(純靑磁)

  • 그릇 표면에 상감기법 또는 다른 안료로 문양을 넣지 않고 청자 유약으로 색을 낸 것을 말한다. 12C 초에 완성된 이 그릇은 고려 청자만의 독특한 비색(翡色)을 자랑하게 된다. 고려를 다녀간 북송의 사신 서긍(徐競)이 『고려도경』에서 "고려가 빙렬(氷裂)이 거의 없는 비색청자(輩色靑磁)를 만들었다"고 찬탄한 기록도 순청자를 말한 것이다.

상형청자(象形靑磁)

  • 동물, 식물, 고동기(古銅器) 등의 모양을 청자로 표현한 것으로 독특한 고려청자의 한 부분이다.

노태형청자(露胎靑磁)

  • 청자의 유약을 문양대로 빼껴내어 문양은 태토의 철분 때문에 갈색으로 나타나게 한 것으로 매우 귀하다.

상감청자(象嵌靑磁)

  • 12C 중엽에 완성된 이 그릇은 태토로 형태를 빗어 반쯤 말린 뒤 그릇 표면에 무늬를 음각하고 그 자리를 백토(白土)나 자토(紫土)로 메운 뒤 유약을 발라 구운 것이다. 고려청자 중 가장 독특한 기법인 상감기법을 활용해 무늬를 그려넣고 투명한 청자 유약을 발라 구워서 흰색 또는 검은색 무늬가 돋보인다.

철회청자(鐵繪靑磁)

  • 그릇 표면에 검은색 안료로 그림을 그린 다음 청자 유약을 입혀서 구운 것이다. 횐색과 검은 색을 적당히 섞어서 그리기도 하지만 검은색으로 그린 것이 대부분이다.

진사청자(辰砂靑磁)

  • 진사란 붉은 색을 띤 안료인데, 진사로 그릇 표면에 무늬를 그리거나 또는 다른 무늬의 일부에 바른 다음 청자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것으로 수량이 작아 매우 귀하다.

화금청자(畵金靑磁)

  • 상감된 무늬의 일부에 금을 칠한 것을 말한다. 보통 상감청자에 비해 매우 드물다.

철채청자(鐵彩靑磁)

  • 그릇 표면에 전체적으로 철사(鐵砂) 안료를 바르고 그 위에 청자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것으로 완성된 빛깔은 검은색이고 광택이 난다. 철회청자는 무늬만 검은 색으로 그린 그릇인 데 비해 철채는 그릇 표면 전체에 검은색을 칠한 점이 다르다.

퇴화문청자(堆花文靑磁)

  • 백토 또는 자토(紫土)로 그릇 표면에 두드러지게 점을 찍거나 그림을 그린 후 청자 유약 입혀서 구운 것이다. 이러한 수법은 초기 청자에서부터 나타나며 여러 종류의 청자에 널리 이용되었다.

연리문청자(練理文靑磁)

  • 고령토 중에서 회토(청자용), 흑토(분청용), 백토(백자용) 세 가지 흙을 뒤섞어 모양을 만든 후 청자 유약을 바르고 구워낸 청자로, 그릇 전체에 세 가지 흙색이 대리석 무늬처럼 얽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만족도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를 평가해 주세요.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