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토기 · 자기

토기·자기(土器·磁器)

  • 각문(刻文) : 새겨서 이루어진 무늬. 새김무늬
  • 각배(角杯) : 쇠뿔처럼 생긴 토기
  • 각병(角甁) : 몸체가 구연부(口緣部)에서 각을 이루며 여러 면으로 되어있는 병.
  • 감( ) : 둥근 몸통에 짧은 목이 달린 단지. 호(壺)
  • 감대(甘臺) : 장경감(밑이 둥굴고 목이 긴 토기)을 올려놓을 수 있게 만든 토기 받침
  • 갑(匣) : 도자기를 소성(燒成)할 때 사용하는 내화성(耐火性)용기. 일명 개비.
  • 갑번(匣燔) : 왕실에 바치려고 별다르게 구운 도자기.
  • 개배(蓋杯) : 굽이 없고 뚜껑이 있는 잔으로 고배(高杯)에서 굽을 떼어낸 것 같은 형태. 신라고분에서 출토되고 있다.
  • 개부호(蓋付壺) : 항아리 중 뚜껑이 있는 토기. 뚜껑항아리.
  • 거치문(鋸齒文) : 톱니 모양으로 만든 무늬
  • 격선문(格線文) : 짧은 선을 토기 바닥의 끝 부분을 향해 세로로 시문한 것.
  • 격자문(格子文) : 선을 교차시켜 문살 모양으로 만든 무늬. 문살무늬
  • 견부(肩部) : 그릇의 목에서 몸통으로 이어지는 부분. 어깨.
  • 경(頸) : 그릇의 몸통과 구연부(口緣部)사이에 수직으로 이루어진 부분. 목. 장경(長頸)은 긴 목, 단경(短頸)은 짧은 목, 직립경(直立頸)은 곧은 목. 내경경(內頃頸)은 오므린 목.
  • 경갑(脛甲) : 판갑옷이나 비늘갑옷의 부속구로서 목 부분을 보호하는 갑옷. 목가리개
  • 경질자기(硬質磁器) : 900 정도의 강한 열로 구운 다음 강한 유약을 칠하고 다시 1,400 정도의 열로 구운 자기. 빛깔은 희고 약간 투명하며 질이 매우 치밀하다.
  • 고배(高杯) : 굽다리 달린 그릇으로 주로 신라나 가야고분에서 출토되는 이 시대의 대표적인 그릇형태. 굽다리접시
  • 공문(孔文) : 그릇 아가리 밑으로 돌아가며 작은 구멍 같은 것을 같은 간격으로 내놓은 것.
  • 과형(瓜形) : 참외모양. 과형병(瓜形甁).
  • 관옥(管玉) : 짧은 대롱 모양으로 길이 방향으로 가운데 구멍이 뚫린 일종의 구슬, 일반적으로 목걸이에 쓰인다.
  • 광구발(廣口鉢) : 입지름이 바닥지름보다 아주 큰 형태의 바리. 입큰바리.
  • 구순(口脣) : 아가리의 가장자리. 입술.
  • 구연부(口緣部) : 그릇입술을 포함한 윗부분.
  • 굽 : 그릇 밑에 붙어서 그 그릇이 편편하게 놓여지게 하는 받침. 굽다리
  • 궐수문(蕨手文) : 고사리 모양처럼 생긴 무늬. 청동기와 삼국시대의 토기에서 많이 보인다.
  • 귀갑문(龜甲文) : 여섯모꼴의 개체가 가로 세로로 연달아 나타나는 거북의 등 모양의 무늬.
  • 귀얄 : 풀이나 옻을 칠할 때 쓰는 기구. 돼지털이나 말총을 널찍이 묶어 만든다.
  • 귀얄문 : 그릇표면에 귀얄로 백토 분장을 하여 귀얄의 자국과 그 사이사이에 보이는 태토가 색의 대조를 이루며 나타내는 문양.
  • 규석(硅石) : 백색의 반투명 암상(巖狀)으로 산출되는 원석.
  • 기대(器臺) : 밑이 둥근 항아리 등을 그릇을 올려놓기 위한 받침.
  • 기하학문(幾何學文) : 점. 금. 동그라미 등의 기하학적인 요소를 배합하여 무늬를 넣은 것. 빗살무늬 토기에서 많이 보인다.
  • TOP↑

  • 나선문(螺旋文) : S자를 옆으로 뉘어 걸어서 갈고리 모양으로 연이어 시문한 무늬. 또는 소용돌이 치는 것처럼 빙빙 돌아가며 감기는 무늬. 과문(過文)
  • 나선원추보주형뉴(螺旋圓錐寶珠形) : 뚜껑의 꼭지가 소라껍질 모양으로 빙빙 뒤틀려 고랑이 진 상태로 올라간 모양. 서린꼭지.
  • 낙승문(絡繩文) : 새끼줄 모양을 나타낸 무늬새기개나 또는 새끼를 감은 두들개로 표면을 누르거나 두드려서 나타낸 무늬. 꼰무늬. 승목문(繩目文).
  • 납석(蠟石) : 잘 다듬어 지는 연질(軟質)의 돌. 조각품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 내화토(耐火土) : 고열에 좀처럼 녹거나 타지 않는 흙으로 도자기 가마나 내화 벽돌을 만드는데 쓰인다.
  • 뇌문(雷文) : 네모 또는 마름모꼴의 무늬를 여러 겹으로 포개서 만든 무늬. 번개를 상징하는데, 각종 기물, 특히 밭이나 등메 등의 가장자리에 둘러놓았다. 돌림무늬
  • 누비문(樓緋文) : 안팎의 피륙 사이에 솜을 두고 죽죽 줄이 지게 바느질을 하는 홈질에서 따온 것으로 줄무늬가 나 있는 모양을 말한다.
  • 눌(訥) : 기와에 쓰이는 수량의 단위로 기와 천장을 한 눌 이라고 한다.
  • 능형문(菱形紋) : 줄이나 점으로 이루어진 마름모꼴 형태의 무늬.
  • TOP↑

  • 다이호(多耳壺) : 어깨 부분에 귀 모양의 고리 손잡이가 여러 개 달려 있는 항아리. 여러귀항아리.
  • 단경호(短頸壺) : 둥근 몸통에 짧은 목이 달린 단지. 목의 높이가 전체의 5분의 1이상 되는 것은 목단지라고 한다.
  • 당초문(唐草文) : 여러 가지의 덩굴풀이 서로 비껴 뻗어 나가는 모양을 그린 무늬.
  • 대부발(臺附鉢) : 굽다리가 달린 바리 모양의 토기로 주로 삼국시대 토기 중에 보이고 있다.
  • 도(陶) : 도(陶)의 첫 번째 의미는 요(窯)이며, 낮은 온도에서 구운 것을 말한다.
  • 도기(陶器) : 낮은 온도에서 구운 그릇.
  • 도자기(陶磁器) : 장석(長石)·반토(礬土)를 부수어 여기에 일정한 열을 가하여만든 그릇. 중국에서 영향을 받았으나, 우리 나라는 일찍부터 도자기 연구가 왕성하였으며, 가장 발달된 때는 고려시대이다.
  • 도지미 : 도침(陶枕)
  • 도질토기(陶質土器) : 진흙으로 만든 그릇. 한(漢)의 회도제법(灰陶製法)을 기초로 해서 우수한 진흙을 사용하여 1,000℃에서 구워 만든 치밀하고 단단한 회색이 도는 흑색 토기.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요(新羅窯)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 도칠자기(陶漆磁器) : 유약 대신 옻칠을 한 자기.
  • 도침(陶枕) : 도자기를 구울 때 그 그릇을 괴는 데 쓰는 물건. 도지미.
  • 도토(陶土) : 도자기의 원료로 쓰이는 진흙의 총칭
  • 돌대문(突帶紋) : 그릇 몸을 돋게 하여 몸 둘레에 띠처럼 돌게 한 무늬. 돋을띠무늬.
  • 동심원문(同心圓文) : 하나의 중심점을 갖고 있는 둘 이상의 동그라미가 겹쳐진 무늬. 겹고리무늬.
  • 두들개박(拍子) : 토기를 만들 때 바탕 흙을 두드려 단단하게 해 주는 연장.
  • 두형토기(頭形土器) : 접시나 대접의 형태에 높은 굽이 달린 토기. 무문토기 말기에 출현하여 삼국시대의 고배로 발전되었다.
  • 등요(登窯) : 산등성이 비탈면에 굴 모양으로 길게 만들어진 가마.
  • 등자( 子) : 말을 탔을 때 두발을 디디는 제구. 안장에 달아서 말의 양쪽 옆구리로 늘어뜨리게 되어 있다. 발걸이
  • TOP↑

  • 립(立) : 대접이나 사발 같은 그릇을 셀 때 쓰이는 수치.

  • 마연석(磨硏石) :토기 겉면을 갈아서 반들반들하게 만드는데 사용하는 석기.
  • 마제형(馬蹄形) : 말발굽처럼 된 모양 요형 (凹形)같은 것.
  • 말각평저(抹角平底) : 토기 바닥에서 동체로 연결되는 부분이 각이 지지 않고 둥근 것. 대야바닥
  • 망문(網文) : 토기 표면에 그물을 찍어서 무늬를 베푼 것. 그물무늬
  • 매병(梅甁) : 입이 작고 어깨 부분이 크며 밑이 홀쭉하게 빠진 모양의 병.
  • 명 : 그릇의 깊이가 얕고 납작한 그릇으로 입 지름이 20㎝이하인 것.
  • 명기(明器) : 무덤에 넣기 위해 만들어진 껴묻거리로 실물을 작게 축소하여 상징적으로 만든 것. 그릇 종류 이외에도 동물. 인물 등도 있다.
  • 모( ) : 자루를 창 밑동에 만들어진 긴 투겁 속에 끼워 쓰는 창.
  • 무문기명(舞文器明) : 무늬나 문체가 없는 그릇.
  • 무문토기(無文土器) : 무늬가 없는 토기, 청동기 시대의 토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 TOP↑

  • 바리 : 바닥에서 아가리에 이르면서 올라가는 입 지름이 20㎝이상의 그릇으로 보통 입 지름이 높이에 비해 길며 국이나 밥을 담는데 쓰인다.
  • 박지문(剝地紋) : 기면(器面)에 귀얄로 백토(白土)를 바르고 문양을 그려 구획한 후, 여백의 백토를 모두 다시 긁어내어 생긴 문양으로서, 문양은 백토색(白土色)이 되고 여백은 태토의 색이 그대로 들어 난다. 분청사기에 쓰이는 시문(施紋)기법이다.
  • 박편(薄片) : 몸돌에서 떼어낸 돌조각 석편(石片). 격지
  • 반(盤) : 그릇깊이가 얕아서 약간 넓적한 그릇. 입지름 20㎝이하의 접시와 구별된다. 쟁반
  • 반동심원문(半同心圓文) : 점을 찍어 중첩된 반원형의 무늬로 주로 빗살무늬토기의 아가리무늬 바로밑에 시문 되어 있다.
  • 반원권문(半圓圈文) : 콤파스를 대고 반원을 그린 것처럼 반으로 잘린 동그라미 안에 점이 찍혀있는 무늬. 활점무늬
  • 반토(礬土) : 산화알루미늄. 도자기 재료의 한가지
  • 백자(白磁) : 소토(素土)가 백색 또는 아백색(牙白色)인 자기. 고려 말기 송나라 정요(定窯)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다. 우리 나라 백자는 조선 왕조 때에 이르러 전성기를 이루었다.
  • 백토(白土) : 빛깔이 흰 흙. 그릇을 만드는데 희게 하는 원료로 쓰인다.
  • 번조(燔造) : 질그릇. 사기그릇 등을 구워서 만드는 것.
  • 법랑(琺瑯) : 광물을 원료로 하여 만든 유약(釉藥). 사기그릇의 겉에 올려 불에 구우면 밝은 윤기가 나고 쇠그릇에 올려서 구우면 사기그릇의 잿물과 같이 된다.
  • 병(甁) : 액체를 담는 그릇의 한가지로 유리. 사기 등으로 만든다. 몸통의 크기에 비해 아가리가 매우 좁은 것이 특징이다.
  • 병(柄) : 칼. 검. 창 같은 무기류서 손으로 쥐거나 잡는 부분. 자루. 파(把)
  • 병대(餠臺) : 바닥이 판판하게 되어있는 편을 괴는 제기접시의 일종. 편과기
  • 병형뉴( 形 ) : 그릇 뚜껑에 달린 단추모양의 꼭지.
  • 보상화문(寶相華文) : 당초무늬에 사용된 가상적 오판화(五瓣花). 불교에서 쓰이는 이상화한 꽃으로 자련화(自蓮華)를 가리킨다.
  • 보토가루 : 그릇을 가마에 앉힐 때 가마 위에 뿌려주는 규석을 빻아서 만든 가루로써 그릇이 가마바닥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해준다.
  • 본소(本燒) : 도자기에 유약을 씌워 소성(燒成)하는 방법. 재벌구이
  • 부조(浮彫) : 모양이나 형상이 도드라지게 새긴 조각. 돋을 새김. 양각(陽刻).
  • 분원사기(分院沙器) : 광주분원에서 만든 도자기. 광주분원의 설치시기는 조선왕조 초기로 추측된다.
  • 분채(粉彩) : 도자기에 그린 연하고 고운 그림의 빛깔. 연채(軟彩)
  • 분청(粉靑) :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로 청자와 같이 회색 또는 회흑색 태토 위에 백토로 표면을 분장하고 그 위에 회청색의 유약이 시유 된 사기.
  • 비짐눈 : 도자기를 포개구울 때 유약이 흘러 서로 붙지 않도록 내화토를 비벼서 굽에 붙인 것.
  • TOP↑

  • 사기(沙器) : 백토(白土)를 원료로 구워 만든 그릇.
  • 사기소(沙器所) : 사기그릇을 굽던 요장(窯場)
  • 사토(砂土) : 모래흙.
  • 산화염(酸化焰) : 불을 땔 때 가마 내부에 최대한으로 공기의 공급상태를 원활하게 해주는 소성 분위기를 말한다. 산화염으로 토기를 소성하면 토기의 색이 붉게 된다.
  • 살촉(鏃) : 화살 끝에 박은 돌이나 쇠붙이로 만든 촉.
  • 삼각사선대문(三角斜線帶文) : 톱니무늬사이의 빈칸을 빗금 등으로 채운 무늬. 맞톱니무늬. 세모띠무늬.
  • 삼엽문(蔘葉文) : 청자유약 밑에 흑백으로 인삼 잎을 그려 넣은 무늬. 고려 매병 중에는 나는 학과 함께 시문 된 것을 볼 수 있다.
  • 상감(象嵌) : 기면(器面)을 파고 거기에 백토나 자토. 진사를 메워 넣어서 문양을 내는 것
  • 상저(上底) : 그릇 바닥 가운데가 움푹 패여서 들려있는 모양의 것. 들린바닥.
  • 상형(賞刑) : 형태를 본떠서 그릇을 만드는 수법.
  • 서리기법 : 태토를 가래떡 모양으로 길게 빚어서 밑판에서부터 서리어 올라가면서 틀어 올리는 방법.
  • 석간주(石間 ) : 붉은 산화철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빛이 붉은 색을 띄고 있는 흙. 석회암. 혈압 등이 분해된 것에서 나타나는데, 제도용 및 산수화에 많이 사용하고 인물화에는 살빛에 쓴다. 적토(赤土). 주토(朱土)
  • 석기 : 도자기의 일종. 잿물을 바를 때의 화도(火度)가 자기보다 약하고 잿물이 원료에 쓰며들어 색깔이 나타나는 것으로 대게 적갈색. 흑갈색으로 나타나며, 보통 토관. 병. 화로 등에 쓰인다.
  • 석부(石斧) : 석기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의 하나, 본래 쇠도끼처럼 나무를 찍고 자를 목적으로 만든 것이었으나 석기 시대는 도구의 세분화가 되지 않아 한 가지로 여러 방면에 사용했기 때문에 무겁고 큰 것을 썼는데, 이것을 총칭하여 석부라고 한다.
  • 설채(設彩) : 색을 칠하는 것. 부채(賦彩)
  • 세문경(細文鏡) : 거울 보다 약간 이른 시기에 나타난 것이다. 거친무늬거울.
  • 소래기 : 모양이 굽이 없는 접시처럼 된 넓은 질그릇, 소래
  • 소문(素文) : 무늬가 없는 것.
  • 소성(燒成) : 도토(陶土)를 높은 온도로 구어 내어 도자기를 만드는 것.
  • 송하탄금문(松下彈琴文) : 소나무 아래서 악기를 연주하는 인물을 표현한 것으로 고려상감청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수날법(手捏法) : 작은 그릇을 직접 손으로 빚어 만드는 방법
  • 수비(水飛) : 조합한 원토(原土)를 물에 풀어 앙금을 체로 받아서 태토로 만드는 방법.
  • 수혈(竪穴) : 수직으로 판 구멍. 곧 아래로 파 내려간 구멍
  • 수혈식(竪穴式) : 무덤을 만드는 방법 가운데 위에서 그 밑으로 주검을 넣도록 되어 있는 형식.
  • 승석문(繩蓆文) : 삿자리 모양의 무늬로, 두들개에 새겨진 무늬 혹은 두들개에 감은 삿사리 등에 의해서 나타난다. 삿무늬
  • 시문구(施文具) : 무늬를 베푸는 데 쓰이는 도구. 무늬시기개
  • 심발형토기(深鉢形土器) : 구연부(口緣部)가 저부(低部)보다 넓으며 깊은 동체를 가진 형의 토기
  • 십이지상(十二支像) :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12지를 상징한 동물상을 돌에 새긴 것. 통일신라시대 무덤 주위에서 많이 설치되어 있다.
  • 십장생(十長生) : 장생불사한다는 열 가지 물건.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 등
  • TOP↑

  • 악(鍔) : 날밑. 도검의 부속품으로 도신(刀身)과 자루의 경계에 끼워 자루를 잡고 손을 보호하는 금속기구
  • 압날문(押捺文) : 눌러서 무늬를 넣는 방법. 눌러찍기.
  • 압출문(押出文) : 눌러서 밀어내어 만들어진 무늬. 밀어내기
  • 약연(藥硏) : 약재를 갈아서 가루로 만드는 기구. 약년(藥 )
  • 양각(陽刻) : 무늬나 모양을 도드라지게 새기는 것. 돋을 새김.
  • 양류문(楊柳文) : 버드나무의 무늬를 나타낸 것이다.
  • 양주(陽鑄) : 주금에서 기물이나 동판 등에 무늬. 명문 등을 표면보다 약간 높게 나타낸 것.
  • 연리문(連理文) : 청자태토와 백자태토 그리고 황토색 흙을 혼합. 반죽하여 그릇을 성형한 후 투명한 청자 유(釉)를 입힐 때 세 가지 태토가 각각 다른 색을 나타내어 생기는 문양
  • 연판문(蓮瓣文) : 연꽃잎을 본뜬 무늬.
  • 연화문(蓮華文) : 연꽃을 도안화한 문양. 신라. 백제 와당(기와)의 문양으로 많이 쓰여진다.
  • 오지 : 갈색의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그릇.
  • 옹관(甕棺) : 고대에 쓴 오지로 만든 도관(陶棺). 와관(瓦棺)
  • 와운문전(渦雲文塼) : 구름 문양이 있는 전(塼)으로 봉황문전. 괴면전. 산경문전과 짝으로 제작된다.
  • 요(窯) : 불을 때서 도자기를 구운 후 말리기까지의 과정이 이루어지는 로(爐).
  • 요지(窯址) : 옛날에 기와. 사기 질그릇 등 요기(窯器)를 만들던 곳. 우리 나라는 요업의 원료가 되는 토석(土石)의 함유량이 많아 요업이 성하였고, 특히 고려시대에 더욱 융성하였다.
  • 용범(鎔范) : 금속을 녹여 부어서 어떤 물건을 만들기 위한 원래의 틀. 거푸집
  • 우상문(羽狀文) : 새의 깃털모양으로 생긴 무늬.
  • 운학문(雲鶴紋) : 둥둥 떠다니는 구름 사이로 학이 날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문양으로써 고려상감청자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 원권문(圓圈文) : 동그라미의 중앙에 찍혀있는 무늬. 고리점무늬
  • 원저(圓低) : 그릇바닥이 둥근 것. 둥근바닥.
  • 유( ) : 원래는 그릇 뚜껑의 손잡이를 의미하나 구리거울에 붙은 혹 모양의 돌기도 유( )라고 한다.
  • 유공고배(有孔高杯) : 전형적인 그릇 안에 가운데가 비어 있는 원통형 관이 붙어 있는 특수한 형태의 그릇.
  • 유단형구연(有段形口緣) : 아가리부분에 뚜껑을 받기 위해 턱을 지워놓은 것. 턱전.
  • 유악토기(有鍔土器) : 아가리가 곧게 끝나지 않고 목에 비해 옆으로 튀어나온 깔때기 모양의 아가리를 갖춘 토기.
  • 유약(釉藥) : 도자기를 구울 때 그 표면에 광택이 나고 기체나 액체의 침투를 막도록 덧씌우는 유리질의 약
  • 유호(油壺) : 기름을 담는 항아리.
  • 은입사(銀入絲) : 은줄을 새겨 넣어 장식한 그릇.
  • 음각(陰刻) : 무슨 모양이나 형상을 요형(凹形)으로 새기는 것.
  • 이당(耳 ) : 귀걸이 구슬
  • 이부발(耳附鉢) : 바리의 어깨나 몸통에 귀가 달려 있는 것. 귀발이.
  • 이중구연(二重口緣) : 토기의 입술을 뒤집어 겹으로 만든 것.
  • 인동문(忍冬紋) : 인동 넝쿨의 뻗어 가는 형상을 도안한 무늬, 신라 와당(기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인화문(印花文) : 일정한 모양의 도장(그림. 꽃. 글씨 등)을 눌러 그 무늬가 똑똑히 보이도록 나타낸 문양.
  • 일운문(日暈文) : 햇무리를 형상화한 문양
  • TOP↑

  • 자(瓷) : 중국과 서양이 정하는 바가 각각 다르다. 중국인은 고온으로 소성하므로, 유약이 몸에 밀착되어 두드리면 맑은 소리가 나며 울리는 것을 자기(磁器)라 하며, 서양인은 투명한 정도로 구분한다. 또 부셀은 자연에서 얻은 단단한 태토로써 여러 인공적인 자료들이 소성시(燒成時) 뭉쳐 단단히 된 것 2가지로 구분된다.
  • 자주요(磁州窯) : 중국 화북성 자주(磁州)에서 만들어 내는 도기.
  • 자토( 土) : 도자기의 원료로 쓰이는 진흙의 총칭. 장석(長石) 같은 것이 자연히 분해되어 이루어진 것인데 빛이 희고 찰기가 있다. 도토(陶土). 고령토(高嶺土)
  • 작(爵) : 제사에 사용하던 술잔의 일종.
  • 잔(盞) : 액체로 된 음료를 따라 마시는 작은 그릇으로 높이가 입지름 보다 길다. 배(杯)
  • 잔대(盞臺) : 잔을 받치는 그릇. 잔탁(盞托)
  • 장경호(長頸壺) : 목이 그릇높이의 5분의 1이상 되는 항아리. 목항아리.
  • 장석(長石) : 유약과 태토의 원료로 사용되는 돌.
  • 장피(粧被) :토기를 굽기 전에 고운 진흙을 풀어놓은 물에 담 구어 토기표면에 얇은 막을 입히는 일. 적색(赤色)의 장식적인 효과와 흡수율을 낮추는 효과를 얻기 위한 방법. 덧칠
  • 재(灰) : 유약의 원료.
  • 적륜법(赤輪法) : 토기를 빚을 때 둥근 흙 테를 나선 모양으로 쌓아 올려가면서 만드는 방법. 테쌓기.
  • 적사토(赤沙土) : 적색(赤色). 사토질(沙土質)로 유약의 재료로 사용한다. 흑보라.
  • 적토(赤土) : 산화철이 많이 함유된 점토(粘土).
  • 전(塼) : 벽돌 모양과 비슷한데 흙을 구워 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넓적하게 만들며 여러 가지 모양과 무늬를 새긴 건축용재의 하나, 낙랑시대의 고분과 건축물에서 많이 출토된다.
  • 전곽묘(塼槨墓) : 벽돌로 만든 옛 무덤의 특이한 형태. 장방형의 벽돌로써 묘실을 만들고 그 위에 窮隆形(활이나 무지개같이 높고 길게 굽은 형)의 천장과 아치형의 입구를 만들었다. 낙랑 고분 중에 많다.
  • 전통(傳統) : 화살을 넣어 두는 통. 가죽으로 만들어 뚜껑이 있으며 표면에 칠을 하였다.
  • 점토(粘土) : 가장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진 흙. 석영(石英). 장석(長石) 등이 암석이 풍화하여 직경 0.01㎜이하로 분해된 흙으로 물에 이기면 점성을 가진다. 철분의 함유량에 따라 회색. 갈색 등의 빛깔이 생기며 수분을 잘 흡수하고 마르면 균열(龜裂)이 된다.
  •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 :아가리 바깥 부분의 단면이 원형 내지 타원형 또는 삼각형의 덧띠를 말아 붙여서 아가리를 두껍게 만든 청동기 시대의 토기
  • 점판암(粘板巖) : 석기 재료로 잘 사용되는 암석.
  • 접( ) : 위가 넓적하고 운두가 낮은 국이나 숭늉을 담는 그릇.
  • 접시( 匙) : 높이가 낮고 아가리가 벌어진 그릇으로 흔히 반찬을 담는데 쓰인다.
  • 접형(蝶形) : 나비 모양의 형태.
  • 정요(定窯) : 중국 송(宋)나라 때에 정주(定州)에서 만든 자기.
  • 제기(祭器) : 제사 때에 쓰는 그릇.
  • 제병(提甁) : 납작한 원형의 그릇으로 몸에 짧은 목이 한 개 달려있는 자라 모양의 병. 자라병.
  • 조골문(鳥骨文) :새의 뼈나 대나무 관으로 찍어서 낸 무늬. 붓두껍 무늬(竹管文).
  • 조문(爪文) :아가리 가장자리에 돌아가면서 손톱이나 손톱 모양의 무늬새기개로 눌러 찍은 것.
  • 조문경(粗紋鏡) : 뒷면의 장식이 주로 세모꼴의 톱니 무늬 등 굵은 선으로 이루어진 거울로서 잔무늬
  • 조화문(彫花文) :기면에 백토(白土)를 귀얄로 바르거나 혹은 백토를 씌운 위에 선조(線彫)의 수법으로 백토를 긁어내어 바탕색을 나타낸 것으로 분청사기에 주로 사용된 기법.
  • 족좌(足座) : 눕혀진 주검의 발을 괴는 받침. 발받침. 족침(足枕)
  • 주(胄) : 전투시 갑옷과 함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쓰는 쇠등으로 만든 단단한 모자. 투구.
  • 주구(注口) :안에 담긴 액체를 따를 수 있도록 그릇 입술의 한쪽을 삐죽이 내민 부리.
  • 주자(注子) :주전자.
  • 즐문토기(櫛文土器) : 그릇 표면이 빗살같이 길게 이어진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에 나타나는 토기. 빗살무늬토기
  • 지석(誌石) : 묘지(墓誌)로 생각하기 쉬우나, 묘지가 아닌 매지권(買地券)의 일종이다.
  • 지질박 : 그릇 내부의 표면을 균등하게 해주는 둥그런 나무 조각.
  • 진사(辰砂) : 진홍색 육방정계(六方晶系)의 광석의 한 가지. 빛은 진홍색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적색 채료(彩料).
  • 진사채(辰砂彩) : 기면(器面)에 진사로 시문하여 문양을 붉게 나타나게 하는 것.
  • TOP↑

  • 착(鑿) : 나무의 구멍을 파거나 다듬는데 쓰이는 폭이 좁고 긴 네모나 연장. 끌.
  • 찰갑(札甲) : 작은 쇳조각을 이어 붙여 만든 갑옷. 비늘갑옷.
  • 찰과법(擦課法) : 토기 표면을 고르는 수법의 하나로 얕고 거칠게 긁는 것. 귀얄질.
  • 채문토기(彩文土器) : 선사시대에 나타난 회백색토기로써 어깨부분에 검은색으로 가지무늬가 돌려있는 토기. 가지무늬 토기
  • 천(釧) : 팔지.
  • 천목자(天目磁) : 고려시대의 흑색 자기. 원래 중국 절강성(浙江省)에서 발달하였는데, 고려시대 때 우리 나라에 들어와 여러 종류로 발달되었다.
  • 철사유(鐵砂釉) : 철분이 많은 흙으로 만든 잿물. 자기태토에 시유한다.
  • 철채(鐵彩) : 자기태토의 기면 전체에 철사(鐵砂)를 입히고, 그 위에 백자유약을 시유하여 암갈색을 띤다.
  • 철화문(鐵 文) : 철회문(鐵繪文). 철분과 잡물이 많이 섞인 흑백색 또는 흑갈색 기면 위에 귀얄로 백토를 바르고, 그 위에 흑색이나 흑갈색 철회구로 그림을 그리는 것. 분청사기에 주로 사용한다.
  • 첩부문(貼附文) : 그릇 몸에 띠 모양의 흙을 덧붙여 만든 무늬. 덧무늬. 태선 융기문(太線隆起汶).
  • 청자(靑磁) : 정선된 태토로 그릇을 성형(成形)한 후 구워 낸 다음 투명한 회유(灰釉)를 입혀 번조한 푸른색을 띤 자기.
  • 청화(靑華) : 중국에서 나는 푸른 물감의 한 가지. 나뭇잎·풀 같은 것을 그리는데 쓴다. 당청화(唐靑華).
  • 초두( 斗) : 긴 자루손잡이가 달리고 다리가 셋 있는 자루 솥으로 액체를 담아 데우는데 사용하였다.
  • 초벌구이(素燒) :처음 태토를 소성하는 방법.
  • 취철사문(吹鐵砂文) : 회색의 그릇 표면에 상감 문양을 나타내고 그 위에 철회구액(鐵繪具液)을 뿜어서 흑갈색의 반점이 점철되어 생긴 문양이 시문된 것. 분청사기에 많이 사용한다.
  • 칠보문(七寶文) : 금(金). 은(銀). 파리( 璃). 마노(瑪瑙). 거거(거 ). 산호 등 일곱 가지의 금은 주옥으로 만든 것을 문양화 한 것. 고려의 상감청자나 조선시대의 백자 등에 문양으로 쓰였다.
  • TOP↑

  • 타날문(打捺文) : 토기의 몸통을 다지거나 부풀리기 위해 안쪽에 판을 대고 두들개로 두드릴 때 두들개에 새겨진 무늬에 의해 나타나는 무늬. 두드림무늬.
  • 타제법(打製法) : 그릇에 성형방법(成形方法)으로 테를 쌓아 두드려 만드는 방법.
  • 타제석기(打製石器) : 전혀 마연(磨硏)한 흔적이 없이 돌을 깨서 만든 석기. 구석기. 신석기 시대의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타석기
  • 탁(鐸) : 편편한 종 모양으로 된 방울. 안에 혀가 달려있어서 흔들면 안 벽을 때려 소리내는 종방울.
  • 탁잔(托盞) : 잔과 받침이 한 벌을 이루는 그릇. 받침잔.
  • 태선문(太線文) : 깊고 굵은 줄무늬로 누른 후 그었다가 마지막에 다시 눌러서, 떼었다가 또는 어느 한쪽에만 눌렀기 때문에 줄무늬의 양끝 또는 한 끝에 깊이 홈이 패어짐으로써 생긴 무늬. 굵은 금무늬
  • 태토(胎土) : 질그릇의 원료가 되는 흙. 바탕흙.
  • 태호(胎壺) : 왕가에서 태(胎)를 담아 태봉(胎封)하는데 쓰는 항아리로 뚜껑꼭지에 네 개의 구멍이 뚫렸고, 항아리 어깨 부분에는 네 개의 고리가 있다.
  • 태환(太 ) : 귀걸이에서 둥근 고리부분이 굵고 크며 속이 비어있다. 굵은 고리 귀걸이.
  • 토광(土鑛) : 흑광(黑鑛)의 산화대(酸化帶)가 흙 같은 엷은 빛의 광석으로 변하여 금분(金粉)과 은분(銀粉)이 풍부한 광석.
  • 토광묘(土壙墓) : 구덩이를 파고 널에 넣은 주검을 묻는 무덤.
  • 토기(土器) : 질그릇. 찰흙으로 만들어 유약을 입히지 않고 구운 그릇. 오지그릇.
  • 토수(吐首) : 기와. 전각 네 귀의 추녀 끝에 이는 기와. 용두형(龍頭形) 혹은 귀두형(鬼頭形)으로 되어 있다.
  • 토우(土偶) : 짐승 혹은 사람 모양으로 만들어진 토제 소조품. 장식적인 용도 외에도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주술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토제소상(土製塑像)
  • 토우(土偶) : 흙으로 만든 인형
  • 토장묘(土葬墓) : 적당한 구덩이를 판 뒤 따로 널 따위를 쓰지 않고 직접 주검을 묻는 무덤방식.
  • 토제소상(土製塑像) : 토우(土偶)
  • 토청(土靑) : 청화백자에 쓰이는 푸른 도료. 회청(回靑)에 대한 말.
  • 퇴화문(堆花文) : 유색토(有色土)를 붓에 묻혀 도드라지게 무늬를 나타내는 것.
  • 투각문(透刻文) : 그릇 안팎이 뚫리도록 조각을 한 문양
  • 투공(透孔) : 토기 굽에 뚫린 구멍. 굽 구멍은 소성시 기벽의 균열이나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 같기도 하나 그와 함께 장식적인 의미도 중요한 목적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굽구멍, 투공(透孔)
  • 투채(鬪彩) : 도자기 면에 그린 그림의 난만한 채색.
  • TOP↑

  • 파상문(波狀文) : 점을 찍어 연결하거나 선을 그어 만든 물결모양의 무늬. 빗살무늬토기와 신라토기에 많이 나타난다.
  • 파상점선문(波狀點線文) : 점을 물결치는 모양으로 찍어서 시문한 것.
  • 파수(把手) : 그릇의 몸통이나 어깨의 양쪽에 길게 달린 띠 모양의 손잡이.
  • 파수부배(把手付杯) : 손잡이가 달린 컵.
  • 판갑(板甲) : 갑옷 가운데 전면을 금속으로 된 판을 못 등으로 밖아 통판으로 붙여 만든 것. 판갑옷.
  • 팔괘문(八卦文) : 중국 상고 시대의 복희씨가 지었다는 우주철학을 상징한 여덟 가지의 괘를 상징하여 시문한 무늬.
  • 패옥(佩玉) : 조관의 조복 좌우에 드리워 차는 옥. 흰색 옥을 여러 개씩 이어서 무릎 밑까지 내려가도록 한 것으로, 엷은 사(紗)로 주머니를 만들어 그 속에 넣어 차고 다닌다. 중국 은나라 때부터 비롯되었는데, 그들은 손수건 또는 묶었던 노끈을 푸는 도구, 장식품 등을 넣은 주머니를 혁대에 달고 다니는 풍속이 있었는데, 이 물건을 패(佩)라 하고, 이때에 달린 옥을 패옥이라 한다.
  • 편병(扁甁) : 앞 뒤 양쪽 배를 두들기거나 양옆을 두들겨 편평하게 만든 병.
  • 편복문( 文) : 박쥐문. 박쥐는 장수의 상징이며, 조선 청화백자에 흔히 사용되었다.
  • 평저(平底) : 편편한 바닥. 납작 바닥
  • 표( ) : 말재갈, 말의 입에 가로로 물리는 쇠로 된 물건, 마함(馬銜)
  • 표형병(瓢形甁) : 표주박으로 생긴 병.
  • 푼주 : 아래는 뾰족하고 위는 짝 바라진 사기그릇.
  • TOP↑

  • 항(缸) : 항아리. 아래위가 좁고 배가 부른 그릇.
  • 행엽(杏葉) : 말띠에 달아 늘어뜨리는 넓적한 장식. 말띠드리개.
  • 호로병(胡虜甁) : 조롱박 모양으로 만든 병. 두 개의 박이 연결된 모양으로 술이나 물을 담는 데 쓰인다.
  • 호액갑(護腋甲) : 갑옷의 부속품. 양편 겨드랑이에 대는 쇠로 하나씩 잡아매고 갑옷을 입었다.
  • 홍도(紅桃) : 토기 겉에 적색 안료를 발라 간 토기.
  • 홍도(紅陶) : 표면을 매끈하게 마연(磨硏)하고 산화철을 칠한 청동기 시대의 토기로, 석관묘에서 출토되는 저부(低部)가 둥근 것과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납작한 것이 있다.
  • 홍문(紅文) : 4∼8열의 선을 활모양으로 한 모양. 신석기 주거지 유적에서 출토되는 즐문토기에 시문되었다. 무지개무늬.
  • 화금청자(畵金靑磁) : 소성 된 순청자나 상감청자의 표면에 니금(泥金)으로 문양을 장식한 것.
  • 화룡준(畵龍樽) : 용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술단지
  • 화승문(花繩文) :꽃을 끈으로 이어 매어 놓은 것 같은 무늬. 통일신라시대의 뼈단지의 겉면 장식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
  • 환뉴( ) : 고리로 된 손잡이
  • 환두도(環頭刀) : 자루 끝에 고리모양의 장식이 달린 칼, 고리칼.
  • 환상병(環狀甁) : 고리 모양으로 된 몸통에 짧은 목을 가진 아가리가 수직으로 달려 있는 병. 고리병.
  • 환상파수(環狀把手) : 그릇에 붙어 있는 고리모양의 손잡이. 고리잡이.
  • 환옥(丸玉) : 구슬처럼 둥근 옥으로 보통내부에 구멍이 뚫려 있어서 끈에 꿰어 쓰도록 만든 것.
  • 환원염(還元焰) : 가마 내부에 공기가 최소한으로 공급되도록 차단해 주는 소성 분위기를 말한다.
  • 황토(黃土) : 모래질 진흙으로 20∼150 사이인데 되게 석회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빙하기 동안에 바람에 의해서 옮겨진 것으로 이 황토 층은 기후가 다시 더워지거나 습윤하여지면 다른 황토(lehm)로 변한다. 리스빙하기 동안 생긴 고황토(古黃土)와 뷔름 빙하기에 생긴 신황토(新黃土)로 구분되며, 후자 내에는 후기구석기 유물이 잘 보존되어있다.
  • 회도(灰陶) : 소성 최후의 단계에 있어서 공기를 들이지 않고 요(窯)의 가운데서 환원하여 생긴 검푸른 회색을 띤 도기.
  • 회색토기(灰色土器) : 환원염으로 구워진 토기로써 되게 회색계통의 빛깔을 나타낸다.
  • 회유(灰釉) : 목회나 석회를 용매로 하여 만든 잿물.
  • 회청자(繪靑磁) : 화청자(畵靑磁). 그릇 표면에 백색 또는 흑색 도료를 풀어 붓으로 그린 다음 청자 유약을 입혀 구워낸 것.
  • 흉계(胸繫) : 안장을 말등에 고정시키기 위해 안장 앞턱에서 말의 가슴 앞으로 돌린 가죽으로 된 띠.
  • 흉배(胸背) : 관복의 가슴과 등에 붙이는 수놓은 표장(標章). 학흉배. 호랑이흉배의 2종이 있다.
  • 흑니(黑泥) : 니탄(泥炭)이 공기로 말미암아 산화 분해하여 검은빛의 분말로 된 물질. 흑니토(黑泥土)
  • 흑도(黑陶) : 그릇 면이 검고, 반들반들하게 간 토기.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
  • 흑요석(黑曜石) : 정확하고 세밀한 형태로 떼어내기 쉬운 석재. 구석기. 신석기 석촉 등을 제작하는데 많이 사용되었다.
  • 흑유(黑釉) : 백자태토에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약을 씌운 후 변조하여 그릇 표면을 흑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한 것.
  • TOP↑

만족도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를 평가해 주세요.

평가: